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rear [2023/11/10 07:09] – fatp11th | rear [2023/11/15 08:58] (현재) – fatp11th | ||
---|---|---|---|
줄 16: | 줄 16: | ||
BACKUP=NETFS | BACKUP=NETFS | ||
BACKUP_URL=nfs:// | BACKUP_URL=nfs:// | ||
+ | BACKUP_URL=iso:/// | ||
</ | </ | ||
</ | </ | ||
줄 32: | 줄 33: | ||
$ vim / | $ vim / | ||
# 매주 22:00에 복구 시스템을 만들고 싶을 때 | # 매주 22:00에 복구 시스템을 만들고 싶을 때 | ||
- | 0 22 * * 1-5 root / | + | 0 22 * * 1-5 root / |
+ | 0 22 * * 1-5 root / | ||
+ | 0 22 * * 1-5 root / | ||
</ | </ | ||
</ | </ | ||
줄 42: | 줄 45: | ||
부팅이 되면 | 부팅이 되면 | ||
제일 상단에 위치한 '' | 제일 상단에 위치한 '' | ||
- | |||
{{: | {{: | ||
+ | |||
복구 프롬프트가 나오면 | 복구 프롬프트가 나오면 | ||
<WRAP prewrap> | <WRAP prewrap> | ||
줄 68: | 줄 71: | ||
</ | </ | ||
</ | </ | ||
+ | |||
+ | 복원된 시스템은 ''/ | ||
복구가 완료되고 재부팅을 하면 복구된 서버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 복구가 완료되고 재부팅을 하면 복구된 서버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 ||
줄 74: | 줄 79: | ||
rear locol.conf 추가 매뉴얼 | rear locol.conf 추가 매뉴얼 | ||
https:// | https:// | ||
+ | |||
+ | '' | ||
+ | |||
+ | |||
+ | <WRAP prewrap> | ||
+ | <code bash> | ||
+ | vim / | ||
+ | -------------------------------------------------- | ||
+ | filename " | ||
+ | |||
+ | systemctl restart dhcpd 재가동시킨다. | ||
+ | </ | ||
+ | </ | ||
+ | |||
+ | <WRAP prewrap> | ||
+ | <code bash> | ||
+ | mkdir -p / | ||
+ | cp / | ||
+ | cp / | ||
+ | cp / | ||
+ | </ | ||
+ | </ | ||
+ | |||
+ | 백업을 받은 파일 PXE서버의 ''/ | ||
+ | |||
+ | 복사한 후에 PXE서버에서 | ||
+ | <WRAP prewrap> | ||
+ | <code bash> | ||
+ | cp / | ||
+ | chmod -R 777 / | ||
+ | </ | ||
+ | </ | ||
+ | PXE부팅을 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boot: 가 나오면 rear를 입력합니다. | ||
+ | |||
+ | {{: | ||
+ | |||
+ | 이후 복구 작업내용은 위의 내용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