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rear
ReaR 설정
/etc/rear/local.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vim /etc/rear/local.conf OUTPUT=ISO # OUTPUT : BOOT용 ISO이미지 생성 OUTPUT_URL=nfs://10.32.0.65/rear # OUTPUT_URL : 생성된 BOOT ISO 이미지 저장 위치 BACKUP=NETFS # BACKUP : BACKUP DATA를 저장 방식을 지정합니다. (NETFS는 network filesystem을 말합니다. 즉 NFS) BACKUP_URL=nfs://10.32.0.65/rear # BACKUP_URL : BACKUP DATA가 저장될 NFS 정보를 입력합니다.
BACKUP 진행
$ rear -d -v mkrescue
cron 작업예약
/etc/crontab
파일에 다음 행을 추가합니다.
$ vim /etc/crontab # 매주 22:00에 복구 시스템을 만들고 싶을 때 0 22 * * 1-5 root /usr/sbin/rear mkrescue
시스템 복구 수행
만들어진 ISO파일을 장착합니다. ( DVD or KVM에 이미지 로드 )
부팅이 되면
제일 상단에 위치한 Recover rhel8
을 선택합니다.
RESCUE rhel8:~ #_
네트워크를 셋팅합니다.
RESCUE rhel8:~ # ip a add 10.32.0.60/24 dev enp1s0 RESCUE rhel8:~ # ip link set enp1s0 up RESCUE rhel8:~ # ip a
nfs server와 통신이 되면
rear -v recover
를 입력하여 복구 수행을 합니다.
RESCUE rhel8:~ # rear -v recover
복구가 완료되고 재부팅을 하면 복구된 서버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참고: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ko-kr/red_hat_enterprise_linux/7/html/system_administrators_guide/ch-relax-and-recover_rear
rear locol.conf 추가 매뉴얼
https://github.com/rear/rear/blob/master/doc/user-guide/03-configuration.adoc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