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_bond_team_본딩_티밍_차이

Linux bond/team 본딩/티밍 차이

참조링크 :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networking_guide/sec-comparison_of_network_teaming_to_bonding

기능 Bonding Team
broadcast Tx policy Yes Yes
round-robin Tx policy Yes Yes
active-backup Tx policy Yes Yes
LACP (802.3ad) support Yes (active only) Yes
Hash-based Tx policy Yes Yes
User can set hash function No Yes
Tx load-balancing support (TLB) Yes Yes
LACP hash port select Yes Yes
load-balancing for LACP support No Yes
Ethtool link monitoring Yes Yes
ARP link monitoring Yes Yes
NS/NA (IPv6) link monitoring No Yes
ports up/down delays Yes Yes
port priorities and stickiness (“primary” option enhancement) No Yes
separate per-port link monitoring setup No Yes
multiple link monitoring setup Limited Yes
lockless Tx/Rx path No (rwlock) Yes (RCU)
VLAN support Yes Yes
user-space runtime control Limited Full
Logic in user-space No Yes
Extensibility Hard Easy
Modular design No Yes
Performance overhead Low Very Low
D-Bus interface No Yes
multiple device stacking Yes Yes
zero config using LLDP No (in planning)
NetworkManager support Yes Yes

단일 스위치의 물리적인 포트 여러개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만들어 줌으로써 대역폭을 늘리는 것을 말함(향상)
cisco에서는 Ether Channel이라고 불린다.

  • LACP는 반드시 어느 한쪽이 Active 모드를 지원해야 한다.
  • bondPassive 모드만 지원한다.
  • teamActive 모드를 지원한다.
  • 따라서 스위치가 Active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bond로는 LACP를 구현할수 없다.
  • Passive mode는 트래픽 상태나 스위치에 상관없이 균등하게 로드밸런싱을 한다.
  • Active mode는 트래픽 상태나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트래픽을 조절한다.

언뜻 보기엔 Active mode가 더 좋아보이지만 일반적으로 Active mode는 부하조절을 위한 오버헤드가 발생하므로 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때문에 종종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Passive mode를 사용하기도 한다.

관련 내용은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networking_guide/sec-configure_teamd_runners#sec-Configure_the_loadbalance_Runner 을 참조하기 바람

로그인하면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 linux_bond_team_본딩_티밍_차이.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2/10 01:51
  • 저자 ko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