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Cisco Switch 설정
시스코 펌웨어 다운로드 : https://cdn.technet24.ir/Downloads/Cisco/IOS/
ROMMON Mode
패스워드 분실 또는 공장 초기화를 위한 Rommon mode 진입방법
전면 mode 버튼 누른채로 전원 입력
그러면 rommon mode 로 진입이 된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BAUD RATE
설정이다.
switch: set BAUD 115200 // 변경하는 순간 터미널이 동작하지 않을수 있다. 이런경우 터미널 속도를 115200으로 변경 후 재 접속한다. switch: set BAUD=115200 ...
스위치 초기화
스위치 초기화
초기화 방법은 VLAN 정보가 저장된 vlan.dat 파일을 delete vlan.dat 명령어를 사용하여 삭제한다.
또 erase st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파일도 지운후 reload 명령어를 사용하여 재부팅한다.
reload 명령어 사용시 설정사항 저장여부를 물으면 no 라고한다
#del vlan.dat #erase start #reload no
기본정보 확인
switch#>show version // 버전확인 switch#>show interface vlan // 아이피 주소 설정 표시 switch#>show running-config //현재 활성화된 설정 표시 R1# show flash -> Flash 정보 확인 R1# show ip route -> 라우팅 테이블 R1# show ip interface brief -> 인터페이스 정보 R1# show interface [Interface Name] -> 인터페이스 상황과 통계치 R1# show controllers [Interface Name] ->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케이블이 확인 및 점검 R1# show cdp neighbor -> 이웃 장비 확인 R1# show cdp neighbor detail -> 인접한 장비의 IP 및 호스트네임 기타 등등 자세히 R1# show running-config -> Running-Config (RAM) 확인 R1# show startup-config -> Startup-Config (NVRAM) 확인 R1# 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RAM에서 NVRAM으로 설정 사항 저장 R1# erase startup-config -> NVRAM 삭제
IP 설정
Switch# configure terminal Switch(config)# interface vlan 1 Switch(config-if)# ip address 192.168.1.2 255.255.255.0 Switch(config-if)# no shutdown Switch(config-if)# exit Switch(config)# ip default-gateway 192.168.1.1
DHCP 이용하여 설정
1. 전역 설정 모드에서 interface vlan 1
명령어로 VLAN 1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2. ip address dhcp
명령어로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설정한다.
3. no shutdown
명령어로 VLAN 1
가상 인터페이스 활성화한다.
4번이었던 디폴트 게이트웨이 설정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 차이점이 있다.
한 가지 알아야 할 점은 dhcp로 IP 주소를 설정할 경우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로는 IP 주소를 볼 수 없다.
이때는 show dhcp lease
명령어나 show interface vlan 1
명령어를 통해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로그 Timestamp 변경
# conf t (config) # service timestaps debug datetime localtime // debug 타임스탬프 변경 (config) # service timestaps log deatetime localtime // log 타임스탬프 변경
장비 시간 설정
# sh clock // 장비 현재 시간 확인 # clock set 13:13:13 april 20 2020 // 장비 시간 설정 # clock timezone kst 9 // 타임존 설정 (한국시간) # conf t (config) # ntp server time.bora.net // NTP 서버 지정 (boranet) # sh ntp status // NTP 서버 동기화 상태 확인
VLAN
VLAN 생성
switch#conf t <- configure terminal 약자 switch(config)#vlan 2 <- vlan 2번을 생성 switch(config-vlan)#name VLAN_NUM2 <- 이름은 'VLAN_NUM2' 라고 함 switch(config-vlan)#exit <- 설정 저장하고 나가기 switch(config)#exit <- 설정 저장하고 나가기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Gi0/1, Gi0/2, Gi0/17, Gi0/26 2 VLAN_NUM2 active
VLAN 2번에 VLAN_NUM2
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vlan
이 생성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vlan에 인터페이스 추가
switch#conf t
switch(config)#interface gigabitEthernet 0/2 ← vlan에 포함 시킬 포트
switch(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2 ← vlan2에 등록 함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exit
switch#show vlan
VLAN Name Status Ports
—- ——————————– ——— ——————————-
1 default active Gi0/1, Gi0/17, Gi0/26
2 VLAN_NUM2 active Gi0/2
VLAN2에 Gi0/2가 포함되어 있는게 보이시죠?
vlan에 IP 주소 설정
switch#conf t switch(config)#interface vlan 2 switch(config-if)#ip address 10.10.10.2 255.255.255.0 <- vlan2에 ip를 설정 함 switch(config-if)#no shutdown <- shutdown 앞에 'no'가 붙었으므로, 인터페이스를 살리라는 뜻.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exit switch#show interfaces vlan 2 <- vlan2의 정보 조회 Vlan2 is up, line protocol is down Hardware is EtherSVI, address is 1c17.d3e5.c14e (bia 1c17.d3e5.c14e) Internet address is 10.10.10.2/24 MTU 1500 bytes, BW 1000000 Kbit, DLY 1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 이하 생략 ..
IP주소가 정상적으로 설정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vlan에 설정한 IP 주소 삭제
switch#conf t switch(config)#interface vlan 2 switch(config-if)#no ip address <- vlan2의 ip를 삭제 함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exit switch#show interfaces vlan 2 <- vlan2의 정보 조회 Vlan2 is up, line protocol is down Hardware is EtherSVI, address is 1c17.d3e5.c14e (bia 1c17.d3e5.c14e) MTU 1500 bytes, BW 1000000 Kbit, DLY 10 usec, reliability 255/255, txload 1/255, rxload 1/255 .. 이하 생략 ..
IP주소가 정상적으로 제거 된것을 볼 수 있습니다.
vlan 삭제
switch#conf t switch(config)#no vlan 2 <- vlan2 를 삭제함 (cisco 스위치는 앞에 'no'를 붙이면 제거/삭제 의 의미를 가짐) switch(config)#exit switch#show interfaces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Gi0/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1000BaseTX Gi0/2 notconnect 2 auto auto 10/100/1000BaseTX
이상하게도.. vlan2
를 지웠는데
2
번 포트는 여전히 Vlan 2
에 포함되어있다고 나옵니다.
default vlan
으로 돌아가게 하고 싶다면 아래 명령(인터페이스 제거)을 수행해야 합니다.
vlan에 등록했던 인터페이스 제거
switch#conf t switch(config)#interface gigabitEthernet 0/2 <- vlan에서 제거할 포트 switch(config-if)#no switchport access vlan 2 <- vlan2 에서 제거 switch(config-if)#exit switch(config)#exit switch#show inter status Port Name Status Vlan Duplex Speed Type Gi0/1 notconnect 1 auto auto 10/100/1000BaseTX Gi0/2 notconnect 1 auto auto 10/100/1000BaseTX
기타
- 로깅 싱크설정
스위치에서 설정작업을 하다보면 명령어 입력도중 시스템 관련메시지가 자동으로 표시되므로
명령어를 제대로 입력하기 위해 싱크작업을 한다
gmate(config)# line 0 16 gmate(config-line)# logg sync
- 콘솔접속 유지하기
gmate(config)#line console 0 gmate(config-line)# exec-timeout 0
- 패스워드 설정
gmate(config)# enable secret switch
해당명령어는 관리자 패스워드를 switch 로 설정하겠다는 뜻이다
- 라인상황 확인하기
gmate#show line
라인상황을 확인후 VTY 설정을 한다
gmate(config)#line vty 0 15 gmate(config-line)# password switch
이러면 원격접속 라인 0~ 15까지 라인의 패스워드가 switch 로 설정된다
- 컨피그 확인 방법
gmate#show runnign-config
- vty 패스워드는 암호화 되지 않았기에 암호화를 한다
gmate(config)#service password-encryption
- 배너달기
gmate(config)#banner motd * Authonized access only!! *
시작전후 *을쓴다
- 한글배너 입력하기
gmate(config)# default-value exec-character-bits 8 gmate(config)# banner motd * 비인가자의 접속을 엄금합니다!! * gmate(config)#
- 인터페이스 설명달기
gmate(config)# interface f 1/0/1 gmate(config)# description gmate1 gmate(config)# interface f 1/0/2 gmate(config)# description gmate2
- 기본설정파일 셋팅
enable config terminal no ip domain-lookup enable secret $gm@te2oo8 alias exec c config terminal alias exec r show running-config alias exec i show ip route alias exec b show ip interface breif line consol 0 logging synch exec-timeout 0 lin vty 0 5 pass $gm@te2oo8 exit hostname
스위치 DNS 설정
cisco(config)# cisco(config)#ip domain-lookup cisco(config)#ip name-server 210.20.64.21
기타
- 도메인 검색 끄기
cisco(config)# no ip domain-lookup
- stp
Switch# show spanning-tree Switch# show spanning-tree vlan [num] Switch# show spanning-tree vlan [num] detail
- 포트상태
Switch# show interface status
- link aggregation
Switch(config)# int port-channel 1 Switch(config-if)# int range gi 1/0/5-6 // chnnel-group 1 mode on channel-group 1 mode active Switch(config-if)# channel-proto lacp Switch(config-if)# exit Switch(config)# int port-channel 1 Switch(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Switch(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확인 Switch# show lacp neigh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