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_network_bonding_-_fail_over_ma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linux_network_bonding_-_fail_over_mac [2020/03/16 02:27] – 만듦 koovlinux_network_bonding_-_fail_over_mac [2020/03/16 02:30] (현재) – [none or 0 옵션 예제] koov
줄 1: 줄 1:
 ====== Linux Network Bonding - fail_over_mac ====== ====== Linux Network Bonding - fail_over_mac ======
 +
 +출처: https://twpower.github.io/207-network-bonding-active-backup-fail-over-mac-option
 +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을 할 때 ''active-backup'' 모드에서 ''fail_over_mac''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을 할 때 ''active-backup'' 모드에서 ''fail_over_mac''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
  
줄 11: 줄 14:
 ==== fail_over_mac 옵션이란 ==== ==== fail_over_mac 옵션이란 ====
 {{:network:04wlcbbofom.jpg|}} {{:network:04wlcbbofom.jpg|}}
-  * fail_over_mac :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간에 어떻게 MAC 주소를 가져갈지 정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값에 따라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의 MAC을 설정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  * ''fail_over_mac'' :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간에 어떻게 MAC 주소를 가져갈지 정하는 옵션으로 설정된 값에 따라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의 MAC을 설정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  * 해당 옵션은 bonding mode가 active-backup 방식일때만 사용되는 옵션이다.+  * 해당 옵션은 ''bonding mode가 active-backup 방식일때만 사용''되는 옵션이다.
   * 이미지 출처 : https://www.ibm.com/support/knowledgecenter/en/linuxonibm/com.ibm.linux.z.l0wlcb00/l0wlcb00_optionfailovermac.html   * 이미지 출처 : https://www.ibm.com/support/knowledgecenter/en/linuxonibm/com.ibm.linux.z.l0wlcb00/l0wlcb00_optionfailovermac.html
  
 ==== fail_over_mac 옵션 종류 ==== ==== fail_over_mac 옵션 종류 ====
-  * none or 0 : (Default) bond된 인터페이스와 모든 slave 인터페이스들의 MAC이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옵션으로 보통 가장 첫번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모든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이 갖는다. +  * ''none'' or ''0'' : (Default) bond된 인터페이스와 모든 slave 인터페이스들의 MAC이 같은 값으로 설정되는 옵션으로 보통 가장 첫번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모든 bond된 인터페이스와 slave 인터페이스들이 갖는다. 
-  * active or 1 : active 상태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으로 설정하는 옵션으로 failover된 상황에서 active 상태인 slave에 따라에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가 달라진다. +  * ''active'' or ''1'' : active 상태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으로 설정하는 옵션으로 failover된 상황에서 active 상태인 slave에 따라에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가 달라진다. 
-  * follow or 2 :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는 고정이고(보통 첫번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갖는다.) active 상태가 되는 slave 인터페이스 MAC 주소에 해당 MAC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failover가 일어날때 새로 active 상태가 될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이전의 active 상태였던 인터페이스에 부여하고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을 받는다.+  * ''follow'' or ''2'' :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는 고정이고(보통 첫번째 slave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갖는다.) active 상태가 되는 slave 인터페이스 MAC 주소에 해당 MAC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failover가 일어날때 새로 active 상태가 될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를 이전의 active 상태였던 인터페이스에 부여하고 bond된 인터페이스의 MAC을 받는다.
  
  
줄 38: 줄 41:
 [root@centos-client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 grep fail_over_mac [root@centos-client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bond0 | grep fail_over_mac
 BONDING_OPTS="mode=1 miimon=100 fail_over_mac=0" BONDING_OPTS="mode=1 miimon=100 fail_over_mac=0"
-<code>+</code>
 </WRAP> </WRAP>
  
줄 132: 줄 135:
 </WRAP> </WRAP>
  
-enp0s8 인터페이스 Down+  * enp0s8 인터페이스 Down
  
 <WRAP prewrap> <WRAP prewrap>
  • linux_network_bonding_-_fail_over_mac.158432566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3/16 02:27
  • 저자 ko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