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hosted_engine_change_spec_스펙_변경하기 [2016/03/31 02:04] – 만듦 koov | hosted_engine_change_spec_스펙_변경하기 [2019/09/05 01:48] (현재) – koov | ||
---|---|---|---|
줄 1: | 줄 1: | ||
====== Hosted Engine 스펙 변경 ====== | ====== Hosted Engine 스펙 변경 ====== | ||
+ | --- // | ||
참조 : https:// | 참조 : https:// | ||
참조 : https:// | 참조 : https:// | ||
+ | |||
+ | ===== RHEV-M 종료하기 ===== | ||
+ | |||
+ | RHEV-M hosted engine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동중인경우 rhev-m vm을 먼저 내려야 한다. | ||
+ | |||
+ | < | ||
+ | # hosted-engine --vm-status | ||
+ | |||
+ | # hosted-engine --set-maintenance --mode=global | ||
+ | |||
+ | # hosted-engine --vm-shutdown | ||
+ | </ | ||
+ | |||
+ | |||
+ | ===== / | ||
+ | |||
+ | |||
+ | <WRAP prewrap> | ||
+ | <code vim / | ||
+ | vmId=10ed5831-959e-4c84-990a-64981aae8f67 | ||
+ | memSize=6144 | ||
+ | display=vnc | ||
+ | devices={index: | ||
+ | devices={index: | ||
+ | devices={device: | ||
+ | devices={nicModel: | ||
+ | devices={device: | ||
+ | vmName=HostedEngine | ||
+ | spiceSecureChannels=smain, | ||
+ | smp=4 | ||
+ | smpCoresPerSocket=4 | ||
+ | smpThreadsPerCore=1 | ||
+ | cpuType=SandyBridge | ||
+ | emulatedMachine=rhel6.5.0 | ||
+ | </ | ||
+ | </ | ||
+ | |||
+ | 위의 내용중 | ||
+ | 메모리 사이즈 : memSize | ||
+ | CPU Cores : smp | ||
+ | 값을 변경하면 된다. | ||
+ | |||
+ | |||
+ | ===== 만약 Hosted-engine이 여러대라면 설정을 모든 호스트에 복사해준다. ===== | ||
+ | |||
+ | |||
+ | < | ||
+ | # scp / | ||
+ | # scp / | ||
+ | </ | ||
+ | |||
+ | ===== 변경 완료후 재기동 ===== | ||
+ | |||
+ | < | ||
+ | # hosted-engine --vm-start | ||
+ | |||
+ | # hosted-engine --set-maintenance --mode=none | ||
+ | </ | ||
+ | |||
+ | <WRAP center round info 60%> | ||
+ | 3.6 버전부터는 설정파일을 수정하는것이 아닌 그냥 WebUI에서 해당 매니저VM의 스펙을 변경해주면 된다. | ||
+ | 단 변경할때에는 반드시 Global Maintenanace 상태에서 변경을 진행하고 변경이 완료된 이후에 Global Maintenance 상태를 해제 시켜주도록 한다. | ||
+ | 해제 시켜야지만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 | ||
+ | </ | ||